본문 바로가기
소화기계/상부(위)

속이 더부룩하고 자꾸 소화가 안돼요 [기능성 소화불량]

by Eternal health 2021. 4. 11.
728x90
반응형

 

이유 없이 속이 더부룩하고 속이 쓰린 증상, 다들 한 번쯤 경험해보셨죠?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2년~2017년까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소화불량'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7년 61만 6천 명이나 된다고 합니다. 

위염, 위궤양과 같이 특별한 병이 없는데도 소화가 잘 안되거나 더부룩함을 느끼신다면, 기능성 소화불량일 수 있습니다. 

 

처음 기능성 소화불량을 들었을때 소화불량은 소화불량이지 기능성은 뭐지???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위염이나 위궤양이 있는 경우, 위에 상처가 난 상태이기 때문에, 위의 소화기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능성 소화불량은 위염이나 위궤양 같은 원인이 되는 질환이 없이, 소화가 잘 안된다는 것입니다. 

 

그럼 과연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가 많을까요?

국내 3차 병원에 내원한 476명의 소화불량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가 소화불량 환자 중 차지하는 비율이 70% 정도 될 정도로 많았다고 합니다.

 

기능성 소화불량 진단


Rome IV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1. 위내시경으로 위궤양, H.pylori 감염 등이 없음

2. 증상 기간은 6개월 이전부터 시작되어 3개월간 증상이 있음

3. 다음 증상 중 한가지 이상

불쾌한 조기포만감은 

할머니가 식사 얼마 못하시고는 배불러서 못 먹겠다. 이런 것을 말합니다.

보통 PDS에 해당하는 환자가 EPS에 해당하는 환자보다 많다고 합니다.

 

기능성 소화불량의 원인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 정신적 스트레스: 많은 연구에서 우울, 불안한 환자가 소화불량이 나타나기 쉽다고 합니다.
  • 위산 민감: 건강한 사람과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 간 위산 분비 차이는 없으나,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의 경우 위산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한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 위장관 운동 이상: 위의 운동성이 떨어져, 음식을 배출하지 못하고 가지고 있는 경우 속이 더부룩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위가 잘 늘어나지 않을 경우에는 조기 포만감이 나타납니다.
  • 십이지장 이상: 위 아래 있는 십이지장에서도 음식을 원활하게 배출하지 못하면 소화불량 증상이 나타납니다.

 

기능성 소화불량 치료


 

Rome IV 가이드라인에 따른 치료 가이드라인입니다.

증상에서 PDS인 경우, 위의 운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위장관 운동 촉진제(prokinetics)를,

EPS인 경우 통증, 속 쓰림을 치료할 수 있는 위산분비 억제제(antisecretary drug)로 치료하라고 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위장관운동촉진제, 위산분비 억제제가 어떤 종류가 있는지 생활습관, 피해야 할 음식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1.04.14 - [소화기계/상부(위)] - 소화 잘되는 음식

 

소화 잘되는 음식

소화불량을 악화시킬 수 있는 음식에 이어 소화불량에 좋은 음식은 뭐가 있을까요? 이전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소화불량과 음식과의 연관성 연구는 아직은 부족한 실정입니다. 특히, 추

multi.tistory.com

2021.05.03 - [소화기계/상부(위)] - 소화불량 치료약 [위장운동촉진제 1편]

 

소화불량 치료약 [위장운동촉진제 1편]

지난 포스팅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에 관련하여 다뤘었는데요. 2021.04.11 - [소화기계] - 속이 더부룩하고 자꾸 소화가 안돼요 [기능성 소화불량] 속이 더부룩하고 자꾸 소화가 안되요 [기능성 소화

multi.tistory.com

ref.

ROME IV guideline 

Korean J Gastrointest Motil 2004;10:111-117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functional dyspepsia in Korea, J Neurogastroenterol Motil, Vol. 26 No. 1 January, 2020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