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화기계/상부(위)

소화불량 치료약 [위장운동촉진제 2편]

by Eternal health 2021. 5. 5.
728x90
반응형

지난 포스팅에서 위장운동 촉진제 1편에 관련하여 다뤘었는데요.

2021.05.03 - [소화기계] - 소화불량 치료약 [위장운동 촉진제 1편]

 

소화불량 치료약 [위장운동촉진제 1편]

지난 포스팅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에 관련하여 다뤘었는데요. 2021.04.11 - [소화기계] - 속이 더부룩하고 자꾸 소화가 안돼요 [기능성 소화불량] 속이 더부룩하고 자꾸 소화가 안되요 [기능성 소화

multi.tistory.com

이어서, 나머지 위장운동 촉진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로토닌

세로토닌 역시 행복호르몬으로 알려져 있죠?

그래서 이 호르몬이 부족할경우, 우울증이 오게 되고,

이런 기전을 활용하여,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약물을 우울증 치료제로 쓰고 있습니다.

뇌에서의 세로토닌 작용은 그렇습니다.

 

위에서는 어떨까요?

위에서 세로토닌은 역류를 감소시키고, 위 배출을 증가시킵니다. 즉, 소화를 돕게 됩니다.

그래서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제가 소화불량 치료제로 쓰이게 됩니다.

여기서 말씀드리는 세로토닌 수용체는 5-HT4에 해당합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제의 역할
  •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제들은 기능성 소화불량 증상을 개선시킵니다.
  • PPI와 병용하여 상복통, 트림이 있는 미란성 식도염 환자의 증상을 빠르게 호전시킵니다. 
    PPI가 위를 느리게 움직이게 하는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해줍니다.
  • probiotics와 함께 병용 시, IBS-C환자의 증상과 배변 빈도를 개선시킵니다.
  • 대장절제술을 한 환자가스배출 시간과 배변 시간을 단축시켜, 음식 섭취를 가능하게 합니다.
  • 당뇨환자에서 위 운동을 증가, 변비를 개선합니다.

국내에서 쓸 수 있는 약물 중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제에 해당하는 약물은 mosapride, DA9701(motilitone)에 해당합니다.

motilitone은 현호색과 견우자라는 생약을 추출하여 만든 약물이라고 합니다. 

DA9701(motilitone)의 기전은 5-HT4, 5-HT1A, 5-HT1B 수용체 작용제이면서, Dopamine D2 receptor 길항제이기도 합니다. 즉, 복합기전에 해당하는 약물입니다.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제들은 부작용이 딱히 언급이 안될 정도로 안전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prokinetics, 위장운동 촉진제들은 기능성 소화불량증 중 식후 불편감 증후군(PDS)에 1차 치료제라고 합니다.

 

다음 포스팅으로는 기능성소화불량증 중 상복부 통증 증후군(EPS)에 쓰이는 PP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ef.

JGH 2012:27;62-68

J gastrointest Surg 2011;15:1361-1367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5:27:705-716

Br J clin Pharmacol. 2010;70:171-9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3;19:495-502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