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7

당뇨병 환자에서 발기장애 당뇨병 환자는 여러 가지 합병증을 겪게 되는데요. 그중 하나인 성기능장애가 있습니다. 성기능장애는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에게도 나타나는데요. 오늘은 그중 발기장애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당뇨병 환자의 발기장애 발생률 당뇨병 환자에서 발기장애(erectile dysfunction, ED) 빈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한 국내 연구에 따르면, 당뇨병 환자의 65.4%가 발기장애를 호소하며, 이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더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제1형 당뇨병에서는 37.5%가, 제2형 당뇨병은 66.3%가 발기장애를 호소한다고 합니다. 당뇨병이 있으면 발기장애 위험이 3.5배나 높아진다고 합니다. 당뇨병 환자에서 발기장애가 나타나는 이유 당뇨병 환자에서 발기장애.. 2021. 9. 20.
당화혈색소를 1% 감소시키면 일어나는 변화 당화혈색소는 최근 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을 보여 주는 혈당 조절 지표라고 말씀 드렸었는데요. 당뇨병을 관리하지 않으면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조절하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 참고부탁드립니다. 2021.09.19 - [분류 전체보기] - 당뇨병 관리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1. 당뇨병의 위험인자가 무엇이 있는지 2. 내가 당뇨병 환자인지, 아닌지 진단하는 방법 3. 혈당 조절 목표는 무엇인지 4. 당화혈색소가 1% 감소하면 일어나는 변화 순서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당뇨병의 위험인자 어떤 경우 당뇨병 발병 가능성이 높아질까요? 당뇨병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두가지에 영향을 받습니다. 가족력이 있으면 당뇨병에 걸리기 쉽다고 하지만, 가족력이 있.. 2021. 9. 19.
당뇨병 관리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당뇨병은 아주 친숙한데요. 그 이유 중 하나가 우리나라 사람 10명 중 한 명이 걸리는 병이 당뇨병이라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보이는 당뇨병과 이를 관리하지 않으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당뇨병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인슐린이 우리 몸에 제대로 작용하지 못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인슐린은 무엇이죠? 인슐린은 포도당이 세포에서 에너지로 쓰이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밥을 먹고나면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이렇습니다. 밥이 분해 되어, 혈액 속에 포도당이 증가 -> 이때 인슐린이 췌장에서 나오게 됨 -> 인슐린을 통해 포도당이 세포에서 에너지로 쓰임 -> 이용되고 남은 포도당은 근육, 지방, 간세포에 저장됨 그.. 2021. 9. 18.
추체외로 증상 원인과 치료 추체외로 증상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추체외로 증상이 무엇인지, 그 원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치료는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추체외로 증상이란? 추체외로 증상은 약물로 인한 운동장애를 말합니다. 풀어서 설명드리면, 특정 약물(원인)을 복용하고 그 약물로 인해 부작용(결과)을 나타내는 것을 말하는데요. 그 부작용은 파킨슨증, 좌불안석증, 정좌 불능, 급성 근육 긴장 이상, 지연성 운동장애가 있습니다. 각각의 증상을 살펴보면 파킨슨증 : 근육의 경직으로 인한 안면 무표정, 침흘림 발생, 자세가 구부정하고 반복적인 떨림, 운동 감소 급성 근육 긴장 이상 : 혀, 목, 안구, 동체 근육 등에 불수의적인 심한 경련이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목이 돌아가고, 팔다리가 뒤틀리는 현.. 2021. 9. 17.
가설을 검정하는 방법 지난 포스팅에서 자료의 분류에 대해 다뤘었는데요. 돈과 행복 간의 관계라는 가설을 세울 때 독립변수, 종속변수도 같이 설명드렸습니다. 좀 더 알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 참고하시면 됩니다. 2021.08.02 - [임상연구] - 범주형과 연속형 자료 범주형과 연속형 자료 data가 넘쳐나는 시대에 살고 있는데요. 이러한 data를 어떻게 분석하느냐에 따라 좋은 insight를 얻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렇게 분석하기 전 알아야 할 기초적인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 multi.tistory.com 이번 포스팅은 이러한 가설을 어떻게 검정하는지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약이 기존 치료제보다 더 효과가 좋다라는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서는 신약과 기존 치료제의 효과가 같다는 가설을 전제로 연구를.. 2021. 8. 5.
상대위험도와 교차비의 관계 지난 포스팅에서 코호트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상대위험도, 교차비에 대해 다뤘습니다. 상대 위험도와 교차비의 차이를 간단하게 보면 상대위험도 교차비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에 비해 위험인자가 있을 때 질병이 발생한 상대적 위험도 질병이 있는 경우 위험인자 유무의 비와 질병이 없는 경우 위험인자 유무의 비의 비 코호트 연구에서 사용 환자-대조군 연구에서 주로 사용 임상적 의미가 분명함 통계 분석에서 수학적인 장점이 있음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1.08.02 - [임상연구] - 상대위험도와 교차비 상대위험도와 교차비 담배를 피우는 사람의 폐암 발생의 연관성이 있는 것은 알겠지만, 어느 정도 폐암 위험을 높이는지 설명하는 지표로 상대위험도(relative risk)와 교차비(odd.. 2021. 8.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