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혈관계, 내분비계/비만

비만 보충제가 얼마나 체중 감량을 해줄까? [후디아, 파이루베이트, 라즈베리 케톤, 요힘빈]

by Eternal health 2021. 10. 2.
728x90
반응형

지난 포스팅에 이어,

 

2021.09.29 - [심혈관계, 내분비계/비만] - 가르시니아 등 비만 보충제가 얼마나 체중 감량에 효과적일까?

 

가르시니아 등 비만 보충제가 얼마나 체중 감량에 효과적일까?

비만과의 싸움 힘들고 지치시죠? 비만에 효과적이라는 식이 보충제와 대체요법을 소개하는 SNS, 방송 등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데요. 저 또한 방송에서 보고 있으면, 이러한 식이보충제가 다

multi.tistory.com

2021.10.01 - [심혈관계, 내분비계/비만] - 비만 보충제가 얼마나 체중 감량을 해줄까? [아프리칸 망고, 베타-글루칸, 구아 검, 키토산, 녹차]

 

비만 보충제가 얼마나 체중 감량을 해줄까? [아프리칸 망고, 베타-글루칸, 구아 검, 키토산, 녹차]

지난 포스팅에서 비타민 D, 칼슘, 프로바이오틱스, 가르시니아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2021.09.29 - [분류 전체보기] - 가르시니아 등 비만 보충제가 얼마나 체중 감량에 효과적일

multi.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후디아, 파이루베이트, 라즈베리 케톤, 요힘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후디아


후디아는 남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선인장 식물인데요.

 

 

식욕 억제, 음식 섭취 감소시켜 줍니다.

 

연구 결과

하지만, 후디아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한 연구를 살펴보면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었고, 그 결과도, 에너지 섭취량이나 체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부작용

심지어 부작용도 있는데요.

부작용으로는 심박수 및 혈압 증가가 있었고, 그 외에도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및 구토가 있었습니다.

 

 

파이루베이트


파이루베이트는 포도당이 우리 몸속에서 해당 과정을 거쳐 생기는 물질인데요.

지방 분해와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켜줍니다.

 

*해당 과정: 포도당 분해과정. 포도당을 피루브산으로 전환하는 대사 경로

 

연구 결과

이와 관련한 연구는 얼마 되지 않고, 또한 연구의 질도 그리 좋지 않았습니다.

연구 결과는 체중 및 체지방에 대한 영향이 약간 있을 수 있다고 하네요.

 

부작용

6주 동안 하루 최대 30g을 먹었을 때에도 큰 부작용은 없었으나,

워낙 연구가 없어서, 이 조차도 확실하진 않다고 합니다.

보고된 부작용으로는 설사, 가스, 복부 팽만감 및 HDL 수치 감소 정도가 있었습니다.

 

 

라즈베리 케톤


라즈베리 케톤은 레드 라즈베리의 주요 아로마 화합물인 천연 페놀 화합물이라고 합니다.

 

 

라즈베리 케톤은 지질대사에 영향을 주어, 체중 감량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연구 결과

이와 관련된 연구는 라즈베리 케톤만을 가지고 한 연구는 아닌 다른 물질과 병용했을 때 연구가 많았습니다.

, 체중감량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이게 라즈베리 케톤 때문인지 아닌지 알기 힘들죠.

 

부작용

8주간의 연구에서 안전성 문제가 보고되지 않았지만, 이 조차도 연구가 잘되어있지 않아 확실하진 않다고 합니다.

 

요힘빈


요힘빈이 건강식품으로 파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는데요.

왜냐하면 요힘빈은 식품이 아닌 약품이기 때문에, 남용하게 되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죠. 

 

요힘빈은 한때 모 정치인의 책에서 언급된 돼지 발정제로 유명한 약물입니다.

비아그라가 나오기 전까지는 요힘빈이 남성의 발기부전 치료제로 쓰였었죠.

 

연구 결과

요힘빈은 아드레날린이 과하게 나오는 효과가 있으나, 체중 감량에는 아무 효과가 없다고 합니다.

 

부작용

무엇보다 부작용을 주목해야 하는데요.

 

 

20mg 이상 요힘빈을 드실 경우, 중대한 부작용이 있고,

보고된 부작용으로는 심근경색, 심부전, 사망 고혈압, 빈맥, 그리고 두통, 불안 등이 있습니다.

반드시 주의하셔야 합니다!!

 

White kidney bean


흰 강낭콩이라고도 하죠.

 

 

탄수화물의 분해와 흡수를 방해합니다.

 

연구 결과

다양한 임상연구가 진행이 되었고, 그 연구의 질도 나쁘지 않았는데요.

연구 결과는 체중과 체지방에 약간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합니다.

 

부작용

12주 동안 하루 최대 3000mg을 먹었을 때 몇 가지 부작용이 있었는데요.

보고된 부작용으로는 두통, 묽은 변, 헛배부름, 변비 등이 있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후디아, 파이루베이트, 라즈베리 케톤, 요힘빈에 대해 다뤘는데요.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후디아: 체중 감량 효과 없지만, 부작용은 있음
파이루베이트: 체중 및 체지방에 대한 영향이 약간 있을 수 있고, 부작용도 있을 수 있음
라즈베리 케톤: 알 수 없음. 부작용 확실하지 않음
요힘빈: 체중 감량 효과 없지만, 부작용은 심각. 주의해야 함!
white kidney bean: 체중과 체지방에 약간 영향 미칠 수 있고, 부작용도 약간 있음

 

다음 포스팅에 이어서 나머지 다루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