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구체 여과율은 신장 배설 기능을 측정함으로써, 신장 기능 장애 정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사구체 여과율(GFR)을 측정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이눌린 청소율
: 이눌린은 재흡수도, 여과도 안되기 때문에, 가장 정확하게 GFR을 측정 가능하기에, Gold standard입니다.
하지만, anaphylaxis가 올 수 있어 잘 쓰지는 않습니다.
2. 크레아티닌 청소율(Creatinine clearance)
: 24시간 동안 소변을 모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Ccr (mL/min) = (Urine Cr x (Urine Volume [24시간 소변량] / 1440)) / Blood Cr
정상수치
남성 120 +/- 25 mL/min
여성 95 +/- 20 mL/min
40세 이상부터 1년에 1ml/min 정도씩은 감소합니다.
3. 혈청 크레아티닌(Serum creatinine), 혈중 요소질소(BUN)
: 가장 많이 이용되며, 혈청 크레아티닌을 이용하여, eGFR을 계산합니다.
MDRD equation
eGFR(mL/min/1.73m2)

if female *0.742
if black *1.212
4. 2009 CKD-EPI equation
eGFR

if female 1.018
if black 1.159
MDRD 공식은 평균 사구체여과율 40, 평균 51세, 남성 백인에서 도출된 공식이기 때문에,
사구체여과율이 60 이상인 경우에는 CKD-EPI 공식이 권장되며,
그 이하에서는 MDRD, CKD-EPI 공식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Cockcroft-Gault formula
GFR(ml/min)

if female *0.85
만성 콩팥병의 분류
CKD stage는 eGFR기준으로 분류하였으나,

사구체 여과율이 신장의 기능을 보여주나,
동일한 GFR이라도 albuminuria에 따라 심혈관질환 위험이 달라지기 때문에
현재는 GFR과 더불어, albuminuria까지 같이 평가합니다.


'신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콩팥병 식이요법, 생활 습관 (0) | 2021.04.18 |
---|---|
신장, 콩팥이 안좋으면 나타나는 증상 [만성신장질환] (0) | 2021.04.17 |
댓글